Warning: preg_match() [function.preg-match]: Unknown modifier '2' in /home/dsracc/public_html/wp_library/check.php on line 237
4대 중독 > 마약중독 - 진단 | 광주서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마약중독

> 4대 중독 > 마약중독

국내에서 약물 사용과 관련한 용어는 의학적 목적의 용어와 일반인 사이의 용어가 뒤섞여 있어 이에 대한 개념이 모호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흔히 사회에서 ‘중독’이라고 하는 용어는 엄밀한 의미에서 의학적인 용어는 아닙니다. 의학적 용어로서의 ‘중독’은 약물에 의한 급성 독성상태를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술이나 마약 등에 중독되었다고 말할 때 쓰는 용어는 의학적으로는 ‘남용’과 ‘의존’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여기에서는 의학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물질 급성 중독(substance intoxication)

일반인들이 얘기하는 중독이란 의학적으로는 의존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에 반하여 의학적인 중독 상태란 섭취된 물질에 의해 그 물질이 갖는 고유한 증상 양상을 급성적으로 유발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암페타민이나 코카인 중독 상태에서 개인은 맥이 빨라지고, 동공이 확대되며, 혈압이 오르고, 진땀이 나거나 몸이 춥게 느껴지는 등의 양상을 볼 수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국제질병분류 제 10판(ICD-10)에서는 투여된 물질에 의해서 일시적인 의식수준, 인지, 지각, 정감 또는 행태와 정신생리적 기능 및 반응의 장애가 초래된 상태를 중독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물질 남용

엄밀히 말하면 물질 남용이란 자신이 살고 있는 문화권 내에서 인정되는 의료 목적 이외에 물질을 사용하거나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는 행태로 물질을 스스로 투여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공부하는 학생이 잠을 쫓기 위해 각성제를 사용하거나, 친구의 압력이나 분위기에 휩쓸려 본드 흡입 등을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됩니다. 즉, 그 물질의 사용이 궁극적으로 해로운 것임을 알고 있으면서도 비의료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질 의존

흔히 사회적으로 ‘중독’이라고 말하는 것이 의학적 용어로는 물질의존입니다. 이 상태는 약물을 만성적으로 반복 투여할 경우 내성이 생기고, 약물의 사용을 중단하였을 경우 그 약물에 특징적인 생리적 또는 행동적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를 흔히 금단 증상이라고 부릅니다. 약물에 따라 특이한 금단 양상을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양상이 없다고 해서 사회적 폐단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의존 상태는 신체적 의존과 심리적 의존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신체적 의존이 없다고 해서 의존 상태가 아니라고 할 수 없습니다.
신체적 의존이란 특정 약물을 반복해서 투여할 경우 약물에 의해 신체적 균형상태가 깨어지고 약물의 투여가 중단될 경우 깨어진 상태가 즉각 정상으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불균형 상태를 보이는 것입니다.
심리적 의존이란 약물로 인하여 심리적인 만족감을 느끼던 상태에서 갑자기 약물을 중단하면 심리적으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끊임없이 약물을 갈망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약물에 의존된 상태에서는 약물에 의한 신체적 또는 심리적인 쾌감을 느끼기 보다는 신체적, 심리적 금단 증상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약물을 중단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질 의존 상태에서는 크게 다음의 특징을 보이게 됩니다.

내성

약물 사용을 반복할 경우 약물에 의한 신체적 반응의 정도가 점차 약해져서 원래의 용량보다 더 많은 용량을 투여해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똑같은 만족을 얻기 위해서는 양이 점점 늘어나야 하는 것인데 술꾼을 생각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한 병만 마셔도 기분이 좋아지지만 시간이 갈수록 같은 만족을 얻기 위해서는 두병, 세병으로 양이 늘어나게 됩니다. 내성이 생기는 정도는 약물의 종류와 작용 기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부 물질에서는 내성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담배의 경우 대부분 독성 용량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내성이 심하지 않은 경우로 분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금단 증상

약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던 사람이 갑자기 투여를 중단하거나 용량을 줄였을 때 신체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금단 증상은 사용하는 약물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 불쾌한 느낌을 유발합니다. 대부분 이러한 금단 현상 때문에 약물 사용을 중단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흔하게 보는 금단 증상으로는 불안, 초조, 우울감과 짜증 등의 정신적인 증상, 식은땀이 나거나 손떨림 등의 신체적 증상이 있으며 약물에 따라 좀 더 심각한 양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강박적 사용

강박적인 사용이란 그 물질이 문제가 있음을 알면서도 사용을 중단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소주 반병만 먹을 예정이었는데 결국 취한 상태까지 술을 마신다거나, 하루 5개비로 흡연량을 정하였지만 원래의 목표량을 초과하여 흡연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본인이 사용량을 조절하려고 노력하지만 적절하게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물질을 구하려고 노력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됩니다. 이 때문에 중요한 사회적, 직업적 또는 여가 활동을 포기하거나 줄일 수도 있습니다.
강박적 사용의 특징 중 하나는 본인이 사용하는 물질이 건강이나 기타 사회적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음을 알고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입니다.